반응형 전체 글665 풋콩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 녹원 2006년도에 개발된 조숙성 풋콩 품종이다. 키가 34㎝로 짧고 꼬투리가 많이 달려 가지형 풋콩 형태로 출하가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4월 하순에 파종하면 풋꼬투리 수확이 8월 상순에 가능하며 풋콩의 100립중은 75.0g으로 대립종이다. 수확기의 풋꼬투리의 녹색이 선명하고 수확 이후에 오랫동안 녹색을 유지하는 특성이 우수하다. 완전히 익은 종자의 껍질은 연녹색이며, 이때 100립중은 30.6g이다. 10a당 풋콩 수량이 1,144㎏으로 다수성이고,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두그루갈이(이모작) 재배순서(작부체계)가 가능하다. 다른 풋콩 품종과 마찬가지로 씨앗용으로 씨받이(채종)하기 위해서는 6월 하순에 별도로 파종해야 한다. 미랑 2005년에 개발된 검정 콩껍질을 가진 풋콩 품종이다. 털색은 갈색이며 .. 2021. 6. 17. 밥밑용 콩의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유색콩 품종) 밥밑용 콩이란 검정콩을 비롯한 유색콩으로 콩자반, 떡속, 제과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콩이다. 청자5호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7년 육성되었으며, 알이 굵고 자엽색이 녹색인 검정콩 품종으로 종자 외관은 재래종 서리태와 유사하다. 청자3호에 비하여 협개열성(성숙시 콩알이 튀는 특성)에 강하고, 불마름병에도 강한 특성을 보인다. 키는 65cm이며, 100립중은 37.0g으로 청자3호(36.2g)와 유사하며, 청자4호보다 알이 굵다. 성숙기는 10월 24일로 청자3호보다 6일 늦은 만숙종이다. 수량성은 10a당343kg으로서 청자3호 대비 30% 증수되고 현재까지 육성된 검정콩 품종 중 최고 수준이다. 종실특성 중 수분흡수율이 양호하고, 경실종자 비율이 낮으며, 밥밑용 및 떡소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전국 어디.. 2021. 6. 17. 콩의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나물용 품종) 아람 2016년 육성된 품종으로 경장은 65cm로 크고 도복과 탈립에 강하며, 100립중은 9.6g이며, 적응지역에서의 수량성은 359kg/10a로 풍산나물콩 대비 12% 증수된 다수성 품종이다. 발아특성, 콩나물 재배특성이 우수하다. 적응지역은 남부 이모작 지대(제주, 전남북, 경남)이다. 해원 2014년에 개발된 품종으로 키가 55cm이고 100립중이 8.1g으로 소립종에 속하며, 풍산 나물콩보다 콩이 익을때(성숙기)가 3일 정도 빠르다. 콩모자이크병과 불마름병 등에 강하고 도복과 탈립에도 강하며, 수량성은 풍산나물콩보다 16% 정도 높은 337㎏/10a로 다수성 품종이다. 콩나물 재배 시 발아세가 높고 경실률이 적으며 아스파라긴 함량도 다소 높다. 적응지역은 남부 이모작 지대(제주, 전남북, 경남).. 2021. 6. 17. 콩의 품종에 대해 알아보자(장류 및 두부용 품종) 평원 2017년에 개발된 품종으로 개화기가 8월 6일로 기존의 대원콩보다 약간 늦고, 성숙기는 10월 17일로 비슷하다. 키는 53cm로 짧은 반면 가장 낮은 꼬투리의 높이는 14cm로 비교적 높고, 쓰러짐에 강하며 꼬투리가 잘 튀지 않아 기계수확이 가능하다. 불마름병과 뿌리썩음병에 잘 걸리지 않고 콩 100알의 무게가 22.8g으로 황색 중립종이며 두부 가공적성이 양호하다. 수량성은 대원콩보다 10% 정도 높은 366㎏/10a로서 국내 개발된 품종 중 최고 수량성을 보인다. 재배 시 유의점은 파종이 늦어지면 콩알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으므로 6월 상·중순경에 파종을 하도록 한다. 논에 재배할 경우 배수로를 깊게 파고 비가 오면 배수로 정비를 철저히하여 물이 빨리 빠질 수 있도록 한다. 대풍2호 2014.. 2021. 6. 17. 콩의 생리 및 생육환경 콩의 생육환경 ▶ 콩의 파종과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온도의 계절적 변화임. ▶ 개화와 꼬투리가 정상적으로 맺기 위해서는 꽃필 때 기간 중 17∼18℃의 평균온도가 적정함. ▶ 콩은 발아를 위하여 씨앗 무게의 50% 정도의 씨알 수분 함량이 필요함. ▶ 콩의 질소고정에 있어서 중요한 근류균의 번식과 활동에 알맞은 토양산도는 pH 6.5~7.0임. 콩의 영양생리 ▶ 콩과작물과 근류균은 공생적 관계로서 콩은 근류균에 음식(광합성 산물)과 집을 제공하고 근류균으로부터 고정질소를 공급받으며 자람. ▶ 콩의 전 생육기간 중 가장 많이 흡수하는 비료성분은 질소, 칼리, 석회, 인산, 마그 네슘(고토)의 순임. 자료 출처 : 농사로 2021. 6. 17. 콩의 생육단계 및 작물 특성 콩의 생육과정 ▶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씨앗(종자)이 싹이 터서 자라고 꽃이 피며 종자가 달려 완전히 익는 데까지 우리나라 품종들은 90~160일 정도 콩의 일생을 보냄. ▶ 콩의 일생은 다른 고등식물과 마찬가지로 꽃필 때(개화기)를 기준으로 영양생장기 와 생식생장기의 두 시기로 구분함. ▶ 싹트기(발아)는 일반적으로 25~35℃의 온도조건에서 출현이 양호함. ▶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해서 질소를 흡수하며, 과다한 생장 및 웃자람이 쉽게 일어 나고 해충의 피해도 많아서 씨알(종실)이 잘 차지 않는 경우가 많은 작물임. ▶ 개화가 되고 어린 꼬투리가 생기는 시기는 특히 포장관리에 신경을 써야 함. 콩의 형태학적 특성 및 역할 ▶ 땅위에서 생장하는 부분(지상부)과 땅속에서 생장하는 부분(지하부)으로 .. 2021. 6. 16. 콩의 중요성과 가치 및 국내 동향 콩의 중요성과 가치 ① 콩은 비료를 적게 주어도 잘 자라는 친환경 작물로서 다른 작물과 이어짓기에 알 맞은 매우 중요한 작물임. ② 현재 논에 벼를 대체하는 가장 유망한 작물로 콩을 추천하고 있어 우리나라 콩 자 급률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임. ③ 콩은 질소고정작용에 의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다른 작물과 재배순서(작부체 계)에 가장 적합한 환경친화형 작물. 또한 가격안정 및 수급조절 역할도 하고 있 어 우리나라 농업 구조상 필요한 작물 중의 하나임. ④ 콩은 단백질 함유량이 많아, 지상에 존재하는 어느 작물보다 그 영양성이 뛰어난 작물임. ⑤ 실제 콩에 들어 있는 단백질 성분은 소고기 등심보다도 월등히 높음. 국내 콩의 산업화 동향 ① 재배면적과 생산량의 감소로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 2021. 6. 16. 고추농사 농업 재해 및 대책법 가뭄 가뭄의 피해는 대체로 아주심기 한 달 후인 5∼6월에 자주 발생한다. 실제 가뭄에 의한 피해 시 수량 감소는 7월과 8월이 심하다. 고추는 침수보다는 가뭄에 다소 강한 작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건조할 경우에는 식물체가 위조(시들음) 현상 피해로 인한 광합성이 감소하거나 양분 흡수 및 물질 전류 등 생리 장해로 저해된다. 시들음 증상을 일으킨 식물체의 세포는 팽압이 적어지고 생장에 필요한 조직 활력을 상실하며 수분 및 무기 양분의 흡수가 쇠퇴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고 호흡 능력이 증가해서 식물체를 약하게 만든다. 생장이 억제되며 개화 결실에 영향을 미쳐 낙화, 낙과 및 기형과 발생을 초래한다. 물빠짐이 좋은 밭에서는 관수 등으로 적절한 토양 수분 유지(pF 2.0∼pF 2.5)를 위한 대책이 필요.. 2021. 6. 15. 풋고추 주요 품종 및 특성 길상 특성 착과성이 우수한 조생종으로 조기 수량이 많다. 주간과 절간이 짧으며 키가 작다. 과색은 농녹색으로 광택이 강하다. 매운맛은 약하고 맛과 향이 우수하다. 하우스재배, 강원도 노지 풋고추 재배에 적합하다. 유의사항 저온기 육묘 시 모종의 생육이 더디므로 적정 온도 유지와 충분한 비배 관리로 생육을 촉진시킨다. 조생종으로 조기 초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1∼2절 꽃을 제거하고, 충분한 퇴비와 기비를 사용한다. 숙과는 과실이 크고 매운맛이 다소 강해지므로 적합한 크기의 유과(14∼15cm 정도의 성숙과)를 수확하는 것이 좋다. 저온기 정식 시 생육이 불량하므로 재배를 삼가도록 한다. 풋고추 전용으로 건과용재배는 삼가도록 한다. 일반 노지재배에서는 바이러스 피해를 입어 품질이 불량해질 수 있다. 농우꽈리풋.. 2021. 6. 15.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74 다음 반응형